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시민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생활을
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
자유게시판

home열린광장자유게시판

이 게시판은 도민 여러분의 의견수렴 코너로, 답변이 필요한 게시글은 질의응답 게시판에 작성하여 주십시오.
자료 게재시 실명을 원칙으로하며, 내용중 선거관련 홍보 및 유세, 비사실적, 비객관적, 미풍양속에 어긋나거나 상품광고, 상대방 비방, 비실명, 욕설, 음담패설등 게시판의 취지와 관계없는 내용은 삭제되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.
글 등록시 내용 및 첨부파일의 개인정보(주민등록번호등)은 기재를 금합니다.
메뉴명:게시글상세조회 항목:(제목,작성일자 ,작성자명 )
아주 특별한 실험
작성일자 2008-08-13
작성자 명 한완수
조회수 2143
어떤 사람이 한달 동안

아주 특별한 실험을 했습니다.

마을의 일정한 구획이 있는

각 집에 매일 만원씩

아무런 조건 없이 매일 나누워 준 다음

그 결과를 관찰해 보는 것이 었습니다.



첫째날,

집집마다 들러서 만원씩 놓고

나오는 그를 보고

사람들이 제정신으로 하는 행동인지

의아해 하면서도 멈칫 멈칫 나와서

그 돈을 집어 갔습니다.



둘째날도 거의 비슷한 일이 벌어졌습니다.

셋째날, 네째날이 되자

그 동네는 만 원씩을 선물로 주고가는

사람의 이야기로 떠들썩 했습니다

신기하기도 하고,

고마운 마음이 들기도 했습니다.



두번째 주 쯤 되었을 때

동네 사람들은 현관 입구에 까지 나와

돈을 나눠주는 사람이 오는 쪽을 뚫어져라

바라보며 언제쯤 올 것인가 기다리게 되었고,

그 소문은 이웃 마을까지 퍼졌습니다.



세 번째 주 쯤 되자 이 마을 사람들은

더이상 그 이상한 사람이 와서

돈을 주는 것을 신기해 하거나

고맙게 생각하지 않게 되었습니다.



네 번째 주 쯤이 되었을 때는

매일 만 원씩 돈을 받는 것이 마치 세끼 밥을

먹고 세수하고 출근하는 것 같은

일상사가 되어버렸습니다.



드디어 실험기간이 끝나는 한 달의 맨

마지막 날 그 실험을 계획했던 사람은

평소와는 달리 그 마을 사람들에게 돈을

나눠주지 않고 그냥 그 골목을 지나갔습니다.



그러자 이상한 반응들이 터져나왔습니다.

여기 저기서 투덜대고 화를 내기 시작했습니다.

" 우리 돈은 어디 있습니까? "

" 오늘은 왜 내 돈 만 원을 안 줍니까? " 라고

따져 묻기 까지 했습니다.

마을 사람들이 매일 만 원을 받는 일은

어느새 당연한 권리가 되어버렸던 것입니다.



우리가 살아가면서

매일 공짜로 만원을 받는 것처럼

공기가 있어 숨을 쉴 수 있는 것도,

물을 마실 수 있는 것도,

흙이 있어 딛고 설 수 있는 것도,

당연하게 생각합니다.



직장에 처음 입사했을 때는

적은 보수도, 낮은 직책도

부족한 근무환경도 개의치 않고

고마움을 느끼지만,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

받는 것이 익숙해지고,

고마운 것들이 당연한 것이 되고,

더 잘 해 주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들이

쌓이게 됩니다.



부모님만 찾던 아이도 성장하면 부모님의

사랑을 당연시 하거나 귀찮게 여기다가,

결국 돌아가신 후에야 그 사랑이 얼마나

감사했는지 느끼고 후회하곤 합니다.



이처럼 우리가 가진 것에 대해서

시간이 지날수록 감사함을 느끼지 못 하는

것은 왜 일까요?



모든 것이 늘 곁에 그렇게 있으리라는 착각,

당연히 내가 가져야하는 권리라는

착각 때문입니다.



우리는 태어날 때 계약서를 쓰고

태어나지 않았습니다.

내 심장이 70년동안 아무 탈 없이 뛰어주리라는

보장은 아무데도 없습니다.

우리의 생명은 우리가 댓가를 지불하고

구입한 물건이 아닙니다.

내가 가지고 있는 몸조차도 온전히

내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것 입니다.



따라서, 내가 가진, 내가 누리는 모든 것에

대해 항상 감사하는 맘을 가져야 합니다.

감사하는 풍요로운 마음이

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 입니다.



ㅡ좋은글 중에서ㅡ
첨부파일

댓글을 작성할 권한이 없습니다.

퀵메뉴 숨기기